본문 바로가기
Hells

트레이닝의 원리

by 헬스준 2020. 6. 18.

안녕하세요 hells준입니다.

이번에는 트레이닝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헬스를 하시는 분들은 꼭 아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그냥 무조건 많이 들고 무겁게 드는 것도 어느 정도 근육성장이 오지만,

원리를 아셔야 똑똑하게 근육을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트레이너분들이 아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트레이닝을 하거나 회원을 티칭을 할 때 트레이닝의 근본이 되는 5가지의 원리가 있습니다.


1. 과부하의 원리

정말 많이 들어봤죠? 과부하의 원리입니다. 근육의 성장의 원리는 근육에 저항을 주면 그 저항으로 인해서 손상이 일어나는데, 그 손상이 일어난 근육은 전에 있었던 저항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근육성장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우리 근육은 그렇게 약하지가 않는다는 것이죠. 근육이 손상이 갈 정도의 저항으로 과부하를 줘야지만, 인체에 있는 근육은 그에 따른 생리작용으로 인해 근육성장이 발생합니다.


2. 점진성의 원리

근육이 심한 정도의 저항으로 과부하를 주면은 근육은 그 자극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다음에도 똑같은 저항과 부하로 똑같이 운동을 해도 근육은 그냥 간지럽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런데 갑작스러운 과부하는 생리학적 이론에 근거해서 근성장에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스쾃을 하는데 40kg으로 10개를 할 수 있는 수행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100kg로 한다고 과부하되지 않는다 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점진적으로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환경적으로 과부하의 한계가 있다면 점진적으로 반복 횟수 또는 세트수 또는 운동속도를 다르게 해 주면서 트레이닝의 양을 늘려야 합니다.

점진적으로 부하를 증가시킨다는 뜻은

스쾃을 40kg으로 하는데 다음에는 50kg 정도의 수행을 한다는 뜻이고 환경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뜻은 헬스장을 다니는데 정말 작은 규모의 헬스장이면 원판의 개수가 너무 없어서 더 이상 증량을 못한다면, 반복 회수를 더 늘려준다거나 세트수를 더 많이 늘려준다거나 스쾃의 수행 동작속도를 내려갈 때 올라갈 때 굉장히 느리게 해 준다는 뜻입니다.


3. 반복성의 원리

몸을 만드는 데 있어서 공부와 다르게 벼락치기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반복성의 원리는 말 그대로 트레이닝을 반복함으로써 근육의 세밀한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근신경계의 기능이 향상되고 근육과 건, 인대와 같은 조직이 성장을 나타냅니다. 그렇기에 근육은 정말 느리게 성장하지만 근육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운동을 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4. 개별성의 원리

사람들은 성별, 연령, 체형, 유연성, 기능성이 다 다르듯이 유전과 운동 경력으로부터 사람들은 다 다른 신체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제 막 운동을 시작한 사람들이 운동 경력이 뛰어난 친구가 같이 운동을 하자고 한들 서로 둘은 불편한 운동을 하게 될 것입니다. 초보자는 그냥 운동을 알려달라고 하는 게 맞습니다.

앞서 말한 진적 과부하를 통한 반복적인 트레이닝을 하면서 자신의 신체 능력에 맞는 트레이닝을 해야 합니다.

 


5. 특이성의 원리

팔이 너무 작아서 팔을 키우고 싶다면 이두와 삼두, 어깨 운동을 해야 하고 상체에 비해 다리가 너무 얇다면 하체운동을 해야 합니다. 각각의 따른 근육의 특수성을 인지를 하고 각각 목적에 맞는 운동 계획을 짜서 트레이닝을 해야 합니다.


6. 가역성의 원리

오랜 기간 운동을 해서 좋은 몸을 만들었는데, 운동을 중단하면 바로 과거의 몸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원리가 가역성의 원리입니다.


7. 의식성의 원리

남이 시켜서 하는 것보다는 스스로가 하면서 더 즐겁고 기분 좋다고 생각하면서 트레이닝을 하는 의식성의 원리.


8. 다양성의 원리, 다면성의 원리

다양하게 골고루 트레이닝을 하는 다양성의 원리.


결론은 자기 수준과 목적에 맞는 운동 종목으로 일관성 있게 점진적으로 과부하를 해줘야 합니다.

이렇게 트레이닝의 원리를 알아봤습니다.

알고 나서 운동을 하게 되면 더 똑똑하게 운동할 수 있겠죠?

건강하게 똑똑하게 운동해요!

 

댓글